봉주르하우스

화이트 부엌 인테리어 소개 & 꿀팁 대방출! 본문

봉주르하우스 인테리어

화이트 부엌 인테리어 소개 & 꿀팁 대방출!

주애 2021. 10. 4. 22:18

 

안녕하세요 봉주르하우스입니다.

 

많은 분들이 구도나, 싱크대 주문방법 등등

인스타 DM으로 문의를 주셔서

이번 포스팅에서 상세히 풀어보겠습니다!

 

 

반셀프인테리어를 계획중이라면

이번 포스팅 많은 도움 되시리라 자부합니다 :)


봉주르하우스

부엌/주방 구조 소개

저희 집은 20평대 2베이 판상형 구조에요.

 

거실과 부엌에 각각 베란다가 있어

오전 오후 내내 해가 잘 들어 좋지만

부엌이 직사각형으로 쭉 뻗은 모양이라

싱크대와 주방가구를 넣을 때 고민이 많았어요.

 

아마 구축아파트를 매수한

많은 분들의 고민이지 않을까 싶은...*

인쇼에서는 이런 집 사지말라고까지 했었다죠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조리공간을 효율적으로 쓸 수 있는 ㄱ자형
통로확보와 개방형의 11자형

 

실제로 주문넣기 직전까지도 고민을 했었답니다(ㅠㅠ)

 

긴 고민 끝에 결국 11자형으로 선택했구요.

덕분에 이렇게 시원~한 개방감을 갖게 되었어요!

 

식탁과 냉장고는 다이닝룸으로 넣어

식사공간과 조리공간을 분리했어요.

 

싱크가구는 잘 보이지 않는 곳에 위치한 만큼

가성비를 중심으로 의사결정하고,

다이닝룸에 조금 더 투자를 한 케이스입니다!

 

11자형을 선택한 이유는 다음과 같아요.

 

첫째, 제가 부엌에서 거의 살다시피 한다는 점.

거실에서든 안방에서든 부엌으로 오갈 때

ㄱ자형은 동선상 불편할 것 같았어요.

 

둘째, 안그래도 좁은 집인데....

이왕이면 집 전체가 한 눈에 읽히도록

넓~게 개방되어보이는게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있었구요.

 

셋째, 우리집 뽀인뜨 다이닝룸을 위해!

아치게이트도 이쁘게 만들고,

그 사이로 보이는 가구들도 예쁘게 채웠는데

아일랜드에 떡하니 가리는게 싫더라구요.

 

 

대신 싱크대 뒷편엔 아일랜드 수납장을,

베란다 쪽에는 철제 수납장을 추가로 구매했어요.

 

부족한 수납 공간으로 활용하면서

최근에는 홈카페 공간으로 꾸렸습니다.

 

 

스케치업에 싱크대 도안을 그려놓고

실측 사이즈와 원하는 규격을 정해서

브리핑 할 자료를 만들었어요.

 

*꼭 이렇게 해야하는건 아니지만

만들어가면 미팅하기에 좀 더 수월해요!

 

이때만 해도 ㄱ자형 싱크대를 생각했었는데

사장님과 미팅 후, 전면 수정하게 되었습니다.

 

여러 부분이 변경되었는지 차근차근 설명드릴게요 :)

 

완성된 싱크대 주방 가구!

 

평소 주방을 이용하는 동선을 고려해

인덕션 > 조리대 > 싱크대 > 조리대 순으로

공간을 배열했습니다.

 

저도 이 순서대로 공간을 소개해볼게요.

 

 


 

❶ 인덕션 조리 공간

계획한 것 실현된 것
침니 후드
3구 인덕션
3단 레일 하부장
침니 후드
> 히든 후드 (대체)
3구 인덕션
3단 레일 하부장
> 2단 레일 하부장 (대체)

저는 상부장이 꼭!있어야 했기 때문에

히든 후드로 변경+상부장 안에 숨겼습니다.

 

침니후드는 상부장이 없는 부엌이거나

거실과 주방이 마주보고 있는 구조에서

더 예쁜 아이템이라고 조언해주셨어요.

겉에서 보기에 후드가 티나지않도록

상부장과 한 몸통으로 숨겨주었어요.

 

아주 깔끔해보여서

잘 한 선택이라고 생각해요.

아래쪽에서 보면 빌트인된 후드가 잘 보여요.

 

후드를 덮고 있는 문짝도

푸쉬도어 형태로 위로 활짝 열 수 있구요.

 

저희 집 처럼 주방이 좁다면

고민없이 히든후드로 고르세요!

인덕션 아래쪽엔 레일 서랍장으로 짰어요.

 

겉보기에 2단처럼 보이지만,

여기에도 히든 서랍이 하나 들어있습니다.

 

 

*싱크대 디자인 꿀팁*

싱크대 도어는 전면에 노출되는 부분이라

문짝이 잘게잘게 쪼개지면

시선이 분산되고 복잡해보일 수 있어요.

 

히든으로 처리할 수 있는 부분은

깔끔하게 숨겨주면 보기에도, 관리하기에도 좋답니다!

맨 아래에는 무거운 냄비류들을 보관했구요.

 

윗쪽 서랍엔

나눔접시와 플레이트를 보관해요.

 

대부분 이 공간에 조리도구를 보관하시던데

인덕션에서 요리하다보면 음식물이 잘 튀어서

위생상 조리도구는 다른곳에 보관해뒀어요.

 

 


 

❷ 조리대 공간

계획한 것 실현된 것
하부 식세기 장
조리공간
하부 식세기 장
> 양념장 (대체)
> 하부 수납장 (대체)
조리공간

원래 하부장에 식세기를 넣으려고 했는데

알고보니 그 위치에 딱 보일러 분배기가 있더라구요?

 

그래서 일반 수납장으로 바꾸고,

빈 틈에 양념장을 추가했어요.

싱크대에서 세척한 재료를

이쪽으로 바로 올려서 손질하고,

인덕션에서 조리한답니다.

전면에는 자주쓰는 조미료를 보관해요.

 

처음에는 조미료를 몽땅 수납장으로 숨겼었는데

은근히 손이 많이가고 불편해서

이렇게 밖으로 꺼내두었습니다.

 

 

가장 많이쓰는 오일/간장/베이킹소다 등은

눈금이 그려진 유리용기에

따로 소분해서 보관하고 있어요.

고리형 소품들은 이케아 주방행거를 구매해서

상부장에 걸어주었어요.

 

 

양념장도 히든 서랍형태로 제작했어요.

 

싱크대에 필수적으로 들어가는게 양념장일텐데요.

 

저는 조미료들을 소분용기에 보관할 예정이였기에

많이들 하시는 스탠망이 불편하겠더라구요.

 

그래서 사장님께 따로 말씀드려서

이런 작은용기가 들어갈 수 있는

미니 서랍을 추가하게 되었습니다.

아래쪽에는 파스타면이나 간장, 오일 등

높이가 큰 식료품들을 보관하구요.

위에는 소분된 조미료들을 보관합니다.

 

인덕션 바로 옆자리라

조리하면서 쓱 꺼내쓰기 편해요!

그 옆에는 지난번에 소개해드렸던

비닐, 호일류들을 보관하는 공간입니다!

 

 


 

❸ 싱크대 공간

계획한 것 실현된 것
백조 싱크볼
그로헤 민타 U 수퍼스틸
백조 싱크볼
그로헤 민타 U 수퍼스틸

제가 계획한 것을

100% 실현한 곳!

쨔잔~

 

어쩌다보니 많은 물건들이 밖으로 나와있는

저의 싱크대 공간입니다. (하하하)

싱크대는 백조싱크 제품입니다.

 

가로도 넓고 깊이도 꽤 되어서

정말 정말 정말! 편해요.

주방수전은 그로헤 민타 U 수퍼스틸

 

눈치챈 분들도 있겠지만!

저희집 스탠 제품들은 대부분 무광이에요.

관리하기 편해서 고른것도 있지만

톤앤매너를 맞추기위해서 고심해서 골랐답니다.

 

디자인도 예쁜데

실은 물줄기가... 정말 시원하게 뿜어나옵니다.

한국수전에서는 못본 그런 물줄기!

 

 

그리고 싱크대 밑 하부장은

이렇게 잡다한 주방도구를 보관중이에요.

보기싫은 보일러 분배기는

압축봉과 바란스 커튼으로 가려주었어요.

 

감쪽같죠?

바란스 커튼 앞에 앞축봉을 하나 더 달아서

S자 고리로 수세미 등을 보관합니다.

 

바짝 말려야 하는 물건들이라

이렇게 걸어두면 좋아요.

 

수직 후라이팬 보관대를 사서

위로 차곡차곡 쌓아 보관합니다.

 

그 외 빈공간에도 도마와 칼을 알차게 수납!

 

 


 

❹ 추가 조리대 공간

계획한 것 실현된 것
ㄱ자 조리대
렌지장
밥솥장
ㄱ자 조리대
> ㅡ자 조리대 (대체)
렌지장
밥솥장
> 식세기장 (대체)

싱크 구조를 ㄱ자에서 ㅡ자로 변경하면서

많은 것들을 수정했던 공간입니다.

윗쪽은 여분의 조리공간으로 활용하고,

가끔 밥솥을 올려두고 사용합니다.

브루이트 미니 수납함을 구매해서

자주 먹는 영양제를 보관하고 있구요.

 

작은 그릇에는 쓰다 남은 식기세척기 세제를 보관해요.

 

 

보통 "이 곳에 식세기를 넣을거에요"라고 하면

알아서 규격을 맞춰 주시긴 하지만

식세기 설치 사양을 한번 더 체크하면 좋아요.

 

*식세기장 설계 꿀팁*

식세기 하단 걸레받이 높이와

싱크대 하부장 걸레받이 높이를 맞추면 깔끔해요.

 

(1) 하부장 사이즈를 세로로 길게 새로 제작하거나

(2) 하부장 문짝만 길게 제작하면 됩니다.

 

그러나 하부장은 기본 규격이 있는지라

(1)번 방식으로 할 경우 비용이 추가될 수 있어요.

 

저희는 부엌이 전면으로 보이는 구조가 아니라

가성비에 초점을 두고 기본 규격으로 했는데요.

 

만약 대면형 주방이라거나,

집안 곳곳에서 부엌이 잘 보이는 곳이라면

걸레받이 높이를 맞추면 디테일을 챙길 수 있습니다.

저희 집 같은 구조에서는

걸레받이 높이 다른게 크게 눈에띄지 않죠?

 

각자의 상황에 맞게 결정하면 될 것 같습니다!

다이닝룸에서 보면 이렇게 깔끔한 뷰

ㅡ자형으로 하길 잘했죠?

 

저희집과 같은 구조라면

싱크대, 냉장고, 식탁 위치가 많이 고민되실텐데

제 포스팅이 인사이트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

 

http://www.instagram.com/house.bonjour

 

반응형
Comments